한계 몰린 여행산업…"정부 지원 없으면 폐업"

  • 3년 전
한계 몰린 여행산업…"정부 지원 없으면 폐업"

[앵커]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에 여행 오는 외국인도, 해외로 나가는 우리 관광객도 90% 가까이 급감했죠.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여행업체들이 살아남는 건 정말 불가능해 보이는데요.

고사 위기에 내몰린 여행업계의 사정을 한지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작지만 7명의 직원들로 꽉 찼던 사무실이 텅 비어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뒤 외국인 관광객 예약은 줄줄이 취소되자 비상 대책으로 지난겨울 스키장 렌털 사업에 나서려고 해봤지만 이마저도 집합금지 조치로 무산됐습니다.

사무실 임대료와 직원들 인건비까지, 수입은 없는데 매달 수백만 원의 고정비는 지금도 계속 나가고 있습니다.

"2억 빌려가지고 지금 한 2~3천만 원 남아있는데 이게 언제까지 갈지…우리가 다시 일어설 수 있게끔 정책적으로 지원이 되어야지만 여행업이 다시 되살아나지 않을까…"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전국 1만7,000여 개 여행업체 중 운영을 중단한 곳은 4,000여 개에 이릅니다.

나머지 1만3,000여곳도 사실상 개점 휴업 상태라 이대로 가면 문을 닫는 것은 시간문제입니다.

여행업계 단체는 국회 앞에 모여 신속한 백신 접종과 여행업 종사자 생계지원 대책 마련을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여행업 피해보상이 포함되는 손실보상법을 제정하라. 관광개발 진흥개발기금으로 여행업 생존을 지원하라. 코로나 끝날 때까지 고용유지지원금을 지원하라."

하지만, 정부의 지원 여부와 무관하게 내년에도 세계 각국의 집단면역 구축과 이를 통한 해외여행 정상화를 장담하기는 쉽지 않아 여행산업의 앞길은 당분간 험난할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 (hanji@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