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까지 백신 공방…'러시아 백신 도입' 주장도

  • 3년 전
◀ 앵커 ▶

백신 수급을 둘러싼 공방, 국회 대정부 질문 마지막 날까지 계속됐습니다.

정부는 11월 집단면역 달성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인데, 여당 내에서 '러시아 백신'을 도입하자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최경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의 핵심 쟁점은 역시 '백신 수급'이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일본 등 해외에 비해 백신 수급이 부족하다" "집단 면역 달성에 6년 4개월이 걸린다"는 국민의힘의 주장은 "근거가 없다"며 국민 불안을 부추기지 말라고 했습니다.

[서동용/더불어민주당 의원]
"정확하지도 않은 정보로 단지 정부만 깎아내리면 된다는 식의 행태는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위협하는 무책임한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국민의힘은 모더나 백신 상반기 공급 차질과 노바백스 생산 지연 등을 지적하면서 "불안을 자초한 건 정부·여당"이라고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송석준/국민의힘 의원]
"백신 확보, 백신 개발 노력에는 소홀했다는 것이 현재 상황이 말해주고 있습니다. 정부는 해야 할 것을 해야 합니다. 제발 정신차려주십시오."

정부는 "백신 자국 우선주의 등 변수가 있지만 백신 추가 확보를 위한 계약 협의도 진행 중" 이라며 "상반기까지 1천 2백 만명, 오는 11월까지 3천 6백만 명이 접종을 받아 집단면역 형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홍남기/국무총리 권한대행]
"상반기에 백신이 이루어지면 (접종률이) 한 22% 내지 23%가 되게 될 거고요. 22에서 23%가 된다면 사실 이제 일상생활을 향한 시작점이 저는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 광고 ##이런 가운데 민주당 일각에선 러시아의 스푸트니크V 백신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유력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러시아 백신은 국내 위탁 생산이 가능해 안정성을 검증하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며 긍정 검토를 정부에 제안했습니다.

당권주자인 송영길 의원도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외교 역량을 통해 러시아 백신을 도입해야 한다"며 힘을 실었습니다.

MBC뉴스 최경재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