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리포트] 아무도 몰랐던 죽음, 청년 고독사 / YTN

  • 3년 전
[송인주 / 서울시복지재단 선임연구위원 : (청년들은) 연령상 죽음이랑 굉장히 멀잖아요. 앞으로 미래가 있는 세대이기 때문에도 그렇고, 건강하기 때문에도 그렇고.]

그런데 아무도 모르게 죽어가는 청년들이 있습니다.

[송인주 / 서울시복지재단 선임연구위원 : 우리는 생각하지도 못했던 청년들의 죽음이 혼자 사는 공간에서 벌어질 수 있고, 그것이 지체되다 발견되는 것을 우리는 '고독사'라고 부르는 겁니다.]

[길해용 / 특수청소업체 대표 : 사업 초기만 하더라도 50대 중장년 고독사가 (유품 정리) 의뢰의 주를 이루고 있었는데, 현재는 이제 20·30대 고독사나 자살 의뢰도 굉장히 많아졌거든요. 거의 이런 비율이 반반일 정도로 현재 의뢰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최혜영 의원실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40세 미만 무연고 사망은 2017년 63건, 2018년 76건, 2019년 81건, 2020년 100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길해용 / 특수청소업체 대표 : 항상 저희가 현장에 들어가서 보는 느낌인데, 일단 외부와 단절돼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아요. 사람들과의 교류가 없었다든가, 아니면 어떠한 취미를 즐겼다는 그런 물건들도 전혀 보이지가 않고요. 본인의 취업을 위해서 최소한의 그런 필요 용품. 인스턴트 식품이라든가. 이런 모습을 보면 좀 안타깝기도 하죠.]

청년들은 왜 고립되고 있을까요?

[송인주 / 서울시복지재단 선임연구위원 : 청년 고독사 문제가 계속 발생하는 이유는 1인 가구가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고, 지속적으로 건강하게 잘 살 수 있는 주거 환경, 사회적인 여건, 일자리 환경 이런 것이 마련돼 있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 1인 가구는 20대가 18.2%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30대 16.8%, 50대 16.3%, 60대 15.2%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형태를 보면, 2018년 기준 20대의 76.5%, 30대의 57.9%가 월세로 살고 있었습니다.

[송인주 / 서울시복지재단 선임연구위원 : 청년들이 1인 가구로 살게 될 때, 자발적으로 1인 가구가 된다고 다들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근간에는 사회적으로 떠밀려서 1인 가구가 된 경우도 상당히 있어요. 이를테면 가족이 갑자기 찢어져서 혼자 살게 된다든가, 시설에서 퇴소해서 혼자 살게 된다든가, 직장이나 일자리를 잃어서 다시 혼자 살게 되...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0411064227293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