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통해 스페인에 한국 문화 뿌리 내린 사범 / YTN

  • 3년 전
스페인의 수도 마드리드에서 약 300km 정도 떨어진 카세레스.

인구 10만의 작은 도시지만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의 유적들이 잘 보존돼 있어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곳이기도 합니다.

이런 곳에서 스페인 사람들에게 태권도를 가르치는 사범 김영구 씨,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의 유명인삽니다.

[호세 마리아 / 친구 : 모든 사람이 그를 알 뿐만 아니라 나는 그에 대해 나쁜 이야기를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어요. 그것만으로도 엄청난 성공이죠.]

[마누엘 / 제자 : 모든 카세레스 사람들은 김영구 사범을 알아요. 김영구 사범을 모르는 사람이 없고, 모두 그를 좋아해요.]

영구 씨의 태권도장을 거쳐 간 제자들만 해도 카세레스 인구 세 명 중 한 명꼴.

오랜 시간 태권도와 지역 사회를 위해 헌신한 공로를 기념해 영구 씨의 이름을 딴 종합 체육관까지 있습니다.

[라사로 / 김영구 씨의 친구 : 그의 이름으로 지어진 종합체육관이 있어요. 그걸 위해서는 지지자 4천 명의 서명이 필요했지만, 단 3일 만에 서명이 끝났어요.]

지난 1979년, 한국에서 선수로 활동하던 영구 씨는 도복 한 벌과 운동화 한 켤레만 들고 스페인 땅을 밟았습니다.

[김영구 / 태권도 사범 : 바르셀로나팀 선수단 감독으로 초청받아서 들어왔는데 운 좋게 제가 가르친 제자들이 1980년 그다음 해에 전국 스페인 태권도 대회에서 단체우승을 했어요.]

감독으로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태권도 사범의 기회를 얻어 스페인에 온 지 1년 만에 본인의 태권도장을 가지게 되었는데요.

7남매의 장남이었던 영구 씨는 월급을 받는 족족 모두 사정이 좋지 않았던 한국의 가족에게 보냈습니다.

[김영구 / 태권도 사범 : 돈을 계속 부치는 것보다는 (가족을) 초청해서 스페인에서 같이 사는 게 좋겠다 해서 동생들을 초청하고 어머니를 초청해서 1982년도에 이 스페인으로 모시게 됐죠.]

가족들을 모두 스페인으로 초청하고 더 큰 태권도장을 구하기 위해 인구가 많은 인근 도시로 떠난 영구 씨.

하지만 맘에 드는 장소를 찾는 일은 쉽지 않았습니다.

[김영구 / 태권도 사범 : 일주일 동안 아내랑 저랑 진짜 열심히 찾았지만, 장소를 못 구해서 다시 되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카세레스에서 커피 한잔 마시면서 이 도시도 괜찮겠다….]

우연처럼 발견한 이 도장에서 40년 가까이 터를 닦고 지내리라고는 생각지도 못했습...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46&key=20210407100126604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