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WHO "코로나19, 연말까지 종식 어려워" 外

  • 3년 전
[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WHO "코로나19, 연말까지 종식 어려워" 外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19 백신을 맞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코로나19가 연말까지 종식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세계보건기구 WHO가 전망했습니다.

SK가, LG와의 배터리 분쟁 판결 결과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거부해달라고 요청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습니다.

밤사이 들어온 글로벌 뉴스, 김지수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19가 올해 말까지 종식되기는 어렵다는 세계보건기구의 전망인데요, 이 소식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세계보건기구 WHO는 "올해 말까지 코로나19를 잡는 건 비현실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최근에 승인된 여러 백신에 대해서는 바이러스의 폭발적 확산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 백신이 사망과 입원뿐만 아니라 전파력에 중대한 영향을 준다면 대유행을 통제하는 쪽으로 속도를 낼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진화하는 바이러스에 대해 장담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다며 지나친 낙관을 경계했습니다.

WHO는 전 세계 신규 확진자가 7주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면서 놀랍지 않은 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따라서 코로나19에 대한 경계를 풀지 말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특히 별다른 방역책 없이 코로나19 백신에만 의존하는 건 위험하다며 사회적 거리두기 같은 기본적인 방역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아프리카 일부 국가가 국제백신공급기구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공급받은 백신을 접종하기 시작했다고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선진국들이 백신을 사실상 독점하며 저개발국들을 배려하지 않고 자국의 건강한 성인에게 백신을 우선 접종하는 행태를 거듭 비판했습니다.

[앵커]

백신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점점 심해지고 있는데요. 멕시코가 이웃 나라인 미국에 백신 확보와 관련해 도움을 요청했지만, 미국이 사실상 거부해 안타까움을 사고 있습니다.

[기자]

미국 백악관은 멕시코의 백신 요청과 관련해 백신을 나누는 걸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실상 거부한건데요. 젠 사키 대변인은 "미 정부는 모든 미국 국민이 백신을 접종하도록 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일단 그 목표를 달성한 후에 추후 단계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사망자가 세 번째로 많은 멕시코는, 지난해 12월 화이자 백신을 시작으로 여러 백신을 들여와 접종하고 있지만, 물량이 충분치 않다보니 접종률이 2% 수준입니다.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은 가까운 미국에서 생산되는 화이자 백신을 유럽에서 소량씩 들여왔다면서 그동안 선진국의 백신 사재기에 비판의 목소리를 높여왔습니다.

멕시코와 정반대 상황에 있는 나라로 이스라엘을 꼽을 수 있습니다. 세계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1위를 기록 중인 이스라엘은, 대규모로 백신을 추가 확보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기존 백신을 통해 형성된 항체의 지속 기간이 짧아 추가 접종이 필요한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섭니다. 네타냐후 총리는 앞으로 6개월에서 1년 안에 3천600만회분의 백신을 추가로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추가로 확보하겠다고 밝힌 백신은 기존에 확보한 물량의 3배가 넘는 겁니다.

이스라엘은 화이자에 실시간 접종 데이터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대규모로 백신을 확보해 지난해 12월 중순 접종을 시작했습니다. 지난 두달여 동안 전체 인구의 50%가 넘는 인원이 1차 접종을, 36% 이상이 2차 접종까지 마쳤습니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부부가 재임 중에 코로나19 백신을 비공개로 접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 부부는 백악관에서 첫 접종을 했고, 이후 두 번째 백신을 맞았습니다. 이들 부부는 대선 기간이던 지난해 10월 초 확진 판정을 받았고, 트럼프 전 대통령은 멜라니아 여사보다 증상이 좀더 심해 사흘간 입원 치료를 받았습니다.

[앵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접종 사실을 알리지 않고 비공개로 백신을 맞았다는건데요. 공개적으로 접종한 바이든 대통령과 여기서도 대조를 이루는군요. 어제, 3·1절 기념식이 열렸었죠. 문재인 대통령의 기념사에 관심이 쏠렸습니다. 미국이 이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면서요.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3·1절 기념사를 통해 언제든 일본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며 역사 문제와 분리해 일본과 협력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강조했습니다. 미국 국무부는 문재인 대통령의 기념사와 관련해 한미일 3국 간 강력하고 긴밀한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미 국무부는 문 대통령의 기념사에 관한 입장을 묻는 연합뉴스 질의에, 기념사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나 평가 없이 대변인 명의로 이런 의견을 밝혔습니다.

미 국무부는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의 동맹, 특히 동북아의 핵심 동맹인 한국, 일본과 관계 강화에 전념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또 미국의 대북정책 검토 과정에서 동맹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지난 달 18일 성 김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과 한일 카운터파트가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첫 3자 회의를 연 사실을 상기시켰습니다.

[앵커]

얼마 전, 미국 정부가 무함마드 사우디 왕세자가 언론인 카슈끄지 살해를 승인했다고 평가하는 보고서를 공개해 국제사회에 충격을 줬는데요. 그런데도 미 정부는 사우디 왕세자를 제재하지 않아서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 백악관이 입장을 밝혔다고요.

[기자]

미국 백악관은 사우디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과 관련해, 무함마드 사우디 왕세자를 제재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러면서도 "역사적으로 미국은 외교관계를 맺은 국가의 정부 지도자에게 제재를 가한 적이 없다"고 전했습니다. 이 같은 입장 표명은, 미 정부가 암살 사건 배후에 왕세자가 있다는 당국 보고서를 공개하고도, 정작 제재 명단에서는 그를 제외해 비판이 이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무함마드 왕세자를 제재할 수 있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표명하면서도, 우방의 국가 지도부에 대해서는 제재하지 않아 왔다는 기존 논리를 반복한 셈입니다. 미 정보 당국은 2018년 카슈끄지를 잔혹하게 살해한 배경에 무함마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