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전' 美텍사스 여전히 고통…전력 자유화가 주범?

  • 3년 전
'대정전' 美텍사스 여전히 고통…전력 자유화가 주범?

[앵커]

주민들을 큰 고통으로 몰아넣은 미국 텍사스주의 혹한에 따른 대규모 정전 사태 원인으로 그동안 신재생 에너지가 꼽혀왔는데요.

이보다도 20여 년 전 전력시장에 대한 자유화가 주된 요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봉석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주 최악의 한파로 전기와 수도가 끊기는 사태가 발생한 미국 텍사스주.

기온이 다시 올라가면서 정상을 되찾아가고 있지만, 일부 주민들은 여전히 전기를 공급받지 못하고 있고 식수 부족은 더 심각합니다.

무료로 나눠주는 물과 음식을 받기 위해 차량 수백 대가 줄지어 있는 모습은 현지 사정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며칠이 지났는데 물도 전기도 없었습니다. 얼어 죽을 뻔했습니다. 저는 심장병 환자입니다. 천식이 있고 심장병도 있습니다."

강추위에 따른 정전 사태의 원인으로 그동안 전기 공급이 들쭉날쭉한 풍력발전이 지목돼왔지만, 최근 미국 언론들은 또 다른 요인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바로 텍사스주의 전력시장 자유화가 재앙을 불렀다는 겁니다.

텍사스주는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주지사이던 1999년 전력에 대해 유례없는 시장화 정책을 실험했는데,

결과적으로 약 220개 업체가 경쟁하면서 전기료는 낮아졌지만, 문제는 지나친 비용 절감이었습니다.

풍력 발전의 경우 터빈이 어는 걸 막기 위한 장비 설치에 터빈당 15만 달러, 우리 돈 약 1억7천만 원이 드는데, 이를 설치하지 않아 발전 중단으로 이어졌습니다.

다른 주에서 전기를 끌어오기 어렵게 설계된 텍사스주의 에너지 독립 정책도 화를 불렀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텍사스인들에게 지난 한 주는 엄청난 도전이었습니다. 어쩌면 전에 겪었던 다른 시련과 달랐을 겁니다."

이런 가운데 텍사스주의 한 여성은 자신의 11세 아들이 정전으로 얼어 죽은 책임이 있다면서 전력회사 두 곳을 상대로 1억 달러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