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국정원 사찰 대상은?…노무현 측근·시민단체

  • 3년 전
◀ 앵커 ▶

이명박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에 '특명팀'이란 게 있었습니다.

이 특명팀이 한 일은 민간인 사찰이었습니다.

최소 38명 이상을 집중 사찰했던 것으로 MBC 취재 결과 확인됐는데요,

노무현 전 대통령 측근과 MB정부 정책한 인사들이 주요 표적이었습니다.

나세웅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MBC가 입수한 이명박 정부 국정원의 '특명팀' 내부 문건입니다.

제목은 '종북좌파 연계 불순 활동 혐의자 목록'.

16번에 서울대 수의과학대학 우희종 교수의 이름이 적혀있습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관련 반대 여론을 조성하고 홍보하는 등 '반정부 활동'을 했다는 이유입니다.

전문가로서 광우병 위험이 있는 30개월령 이상의 미국 쇠고기 수입에 반대한 활동을 '반정부'뿐 아니라 '종북'과도 연계한 겁니다.

[우희종/서울대 교수]
"굉장히 충격을 받았습니다. 얼마나 광범위하게 많은 사람들을 상황에 따라서 종북으로 몰아갈 수 있을까."

특명팀은 원세훈 국정원 시절 만들어졌는데, 산업스파이 등을 잡는 방첩 우수 요원들을 투입해 스마트폰 해킹 같은 첨단 기법으로 사찰했습니다.

## 광고 ##故 박연차 전 태광실업 대표도 공작 대상이었음이 확인됐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딸 노정연 등 가족과 측근 비리를 확인'한다는 이유입니다.

노 전 대통령의 측근인 정상문 전 총무비서관 역시 '노 전 대통령 가족 등 참여정부 비리 및 비도덕적 행위 추적' 명목으로 표적이 됐습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도 단국대 교수 시절 '4대강과 세종시 사업 반대 등 반정부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특명팀 리스트에 올랐습니다.

MB정부 당시 여권 인사들도 일부 확인됐습니다.

홍정욱 전 의원은 '정부 정책 비판', 이종구 전 의원도 특정 기업과의 악연 및 자질 문제 파악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사찰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특명팀 리스트를 보면 '주요 명단'은 28번까지, '추가 명단'은 10번까지 순번이 매겨져 적어도 38명 이상이 공작 대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MBC 뉴스 나세웅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