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이었으면 총 맞았을 것"…경찰 대응 논란

  • 3년 전
"흑인이었으면 총 맞았을 것"…경찰 대응 논란

[앵커]

미국에서는 의회에 난입한 시위대를 향한 경찰 대응을 놓고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워싱턴 D.C.에서 벌어졌던 인종차별 반대 시위 대응과는 크게 달랐기 때문인데요.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도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워싱턴에서 백나리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 연방의회 의사당 건물로 돌진하는 시위대 앞에서 맥없이 무너지는 경찰의 모습이 전 세계에 생중계되면서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의회 경찰은 인근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지는 데도 폭동 진압 장비를 갖추지 않은 채 현장을 지켰고 시위대를 막는 장벽의 높이도 높지 않았습니다.

사실상 무방비 상태나 다름없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SNS상에는 경찰이 시위 참가자와 사진을 찍고 시위대가 더 가까이 다가올 수 있도록 보안 장벽을 열어주는 장면이 담긴 영상까지 공개됐습니다.

이 같은 대응은 지난해 5월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망 이후 촉발된 인종차별 반대 시위와는 확연히 대비돼 더 논란입니다.

당시엔 시위 확산 전부터 군을 비롯한 당국의 철저한 대응조치가 취해졌습니다.

워싱턴DC와 11개 주에서 주 방위군이 동원됐고 외곽에는 현역병까지 배치됐으며 군용헬기가 저공비행 하면서 시위대 해산을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이번에도 주 방위군이 투입되긴 했지만, 승인까지 시간이 지체됐고 미리 배치됐던 주 방위군은 시위대와 대치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 멀찌감치 떨어져 대기했습니다.

"어제 폭동을 일으킨 시위대가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관련 단체였다면 아마도 의회를 습격한 이들과 같은 대우를 받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번에 의회에 난입한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은 대부분 백인 남성이었습니다.

흑인 인권 단체 '흑인 목숨은 소중하다 글로벌 네트워크'는 "시위대가 흑인이었다면 구타와 총격이 있었을 것"이라며 미국 공권력이 보여주는 또 하나의 위선적 사례라고 지적했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 백나리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