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 독감백신 접종 후 잇단 사망

  • 4년 전
[뉴스초점] 독감백신 접종 후 잇단 사망


독감 백신을 접종한 뒤 숨진 사람이 밤새 2명 더 늘어 지금까지 모두 11명 발생했습니다.

방역당국은 백신 자체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독감백신, 맞아도 괜찮은 건지 전문가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김경우 인제대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교수 나와 주셨습니다.

일주일 동안 독감백신을 맞은 뒤 숨진 사람이 지금까지 11명 보고됐습니다. 지역도, 나이도, 그리고 접종 백신 종류도 모두 다 다른데요. 부검 결과가 나와 봐야 알겠지만, 방역당국도 사망자들 사이의 공통점이 없기 때문에 독감백신과 사망원인 사이의 연관성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교수님은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어제 방역당국은 사망자 11명 중 6명과 관련된 조사 내용을 발표했는데요. 이 중 1명을 제외한 나머지는 고령에 기저질환이 있었습니다. 독감백신과 기저질환 사이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도 있을까요?

고령의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은 면역력이 낮을 수 있기 때문에 독감백신 접종 후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조금은 있다고 합니다만, 17세 고등학생은 평소 기저질환도 없었다고 하는데요. 이 학생의 사망 원인은 뭐라고 볼 수 있을까요?

방역당국은 이 가운데 1명은 독감백신 접종 부작용 중 하나인 '아나필락시스 쇼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는데요.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뭔가요? 아나필락시스 쇼크 가능성은 어느 정도로 보십니까?

밤새 추가된 2명을 제외하고, 사망자 9명 중 무료백신을 맞은 분이 8명, 유료백신을 맞은 분이 1명이다 보니 유료백신과 무료백신이 다른 것 아니냐는 문의가 많다고 합니다. 현재 무료백신과 유료백신의 차이가 있습니까?

만약 본인이 달걀 알레르기가 있다면 유정란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한 백신 말고 세포 배양 백신을 선택해 맞을 수도 있나요?

독감백신을 접종하러 가시거나 독감백신을 맞은 뒤 주의할 점은 뭐가 있을까요?

독감 백신 예방접종을 맞은 사망자들의 정확한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일부 사망자에 한해 부검 전 코로나19 진단을 했다고 합니다. 무증상 감염도 워낙 많아 혹시라도 코로나19에 걸렸거나 무증상으로 앓고 지나가 몸속에 코로나19가 생겼을 수도 있을 거 같은데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관련성은 어떻게 보시나요?

무료 독감백신이 전에는 3가 백신이었는데요. 올해는 4가 백신으로 바뀌어 혹시 이것이 사망에 이르게 한 원인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4가 백신이 뭐고, 직접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까?

방역당국은 올해 트윈데믹, 즉 코로나19와 독감의 동시 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독감접종이 한꺼번에 몰리다 보니 초기에 사망 신고건수가 늘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습니다. 2009년에도 10월 한 달 동안 8명이 사망한 사례가 있었는데요. 2009년엔 신종플루가 유행했죠? 감염병과 사망자가 늘어난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어떻게 보시나요?

또 하나 궁금한 건, 부검 결과인데요. 부검이 끝나면 독감백신 접종과 사망 간 연관성 여부가 어느 정도 밝혀질 수 있습니까?

아직 독감백신을 맞지 않은 분들 중에는 부검 결과나 조사결과가 나온 뒤 맞겠다는 분들도 적지 않습니다. 결과를 본 뒤 접종하는 건 시기적으로 늦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지금 독감 접종을 하는 게 맞는지를 묻는다면, 어떤 말씀을 해주시겠습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