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간다]물류창고 화재 5개월…또 다른 현장은?

  • 4년 전


사회적 파장이 컸던 뉴스 현장을 재점검하는 다시간다 코너입니다.

다시간 곳은 지난 4월, 대형 화재로 48명의 사상자를 낸 경기도 이천 물류센터 공사현장입니다.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고, 무리하게 공사를 강행하다 불이 났는데요.

5개월 후 사건 현장 우현기 기자가 다시 찾아갔습니다.

[리포트]
시계 바늘은 멈춰섰고, 책상 위 달력은 여전히 4월입니다.

이천 물류창고 화재로 남편을 잃은 박시영 씨.

결혼한 지 1년도 안 돼 겪은 사고 충격은 5개월이 지난 지금도 사라지지 않습니다.

[박시영 / 이천 화재 유족]
"언니네 집에 열흘, 오빠네 집에 며칠 떠돌이 생활을 하고 있는 거예요 지금까지. (집에) 오면 좋은데 2~3시간 지나면 제가 계속 울고만 있는 거예요"

경찰은 당시 우레탄폼에 발포제를 첨가하는 작업과 용접 작업이 동시에 진행돼 불이 난 것으로 봤습니다.

화재 위험 때문에 동시에 하면 안 되는데, 공사기간을 줄이려고 강행한 겁니다.

또 비상경보장치 등 임시 소방시설이 없었고 화재 관리자도 없었습니다.

5개월이 지난 지금, 현장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우현기 / 기자]
"공사가 절반 정도 진행된 경기 이천의 또다른 물류창고 현장인데요. 소방전문가와 함께 제가 직접 점검해보겠습니다"

대형 물 펌프가 곳곳에 있고, 화재 경보기와 피난유도선도 설치됐습니다.

화재 관리자도 상주하고 있습니다.

용접작업을 뒤로 미뤄둔 상태라 동시 작업 여부는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지춘근 / 화재보험협회 서울지역본부장]
"용접이나 이런 부분이 아직 없기 때문에 (판단이 어렵습니다.) 앞으로 용접 작업을 한다면 반드시 환기 시설을 설치한다든지"

직접 점검해 본 곳은 안전수칙을 지키고 있었지만 여전히 미흡한 곳이 많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전국 대형 물류·냉동 창고 243곳을 점검해 용접 작업장에 화재 관리자나 소화기를 두지 않은 이유 등으로 46곳을 수사기관에 고발했습니다.

지난 6월, 정부는 3층 규모 이상의 공장에만 적용되던 마감재 화재안전 기준을 모든 공장과 창고로 확대했습니다.

특히 사용 기준이 없었던 내부 단열재도 반드시 불에 타지 않는 난연 소재를 쓰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정부 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오영환 / 더불어민주당 의원]
"아예 가연성 단열재, 우레탄 폼과 스티로폼 이런 것들을 퇴출시켜야 한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고요."

당시 관련자들은 어떤 처벌을 받았을까.

발주처와 시공사, 협력사 관계자 등 26명이 업무상 과실 치사상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았고 이 중 10명이 1심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나머지 16명에 대한 수사는 아직도 진행 중입니다.

보상 문제도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유가족들이 시공사나 협력사와는 합의를 이뤘지만 발주처와는 소송까지 벌이고 있습니다.

[김용준 / 이천 화재 유가족 법률대리인]
"발주처가 책임 의식을 가지고 있다면 저희와 합의가 이뤄질 텐데 손해배상 청구소송 (준비를) 지금 진행 중에 있습니다."

유가족은 다시는 이런 아픔이 생기지 않기만을 바랄 뿐입니다.

[김지현 / 이천 화재 유족]
"이런 사건의 책임 소재가 조금이라도 있는 사람들한테 좀 '제대로 하라'고 얘기하고 싶네요."

'다시간다' 우현기 입니다.
whk@donga.com
영상취재 : 윤재영, 김명철
영상편집 : 방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