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째 국감, 공무원 피격 쟁점…대북 현안도 공방 가열

  • 4년 전
이틀째 국감, 공무원 피격 쟁점…대북 현안도 공방 가열

[앵커]

21대 국회 첫 국정감사가 이틀째 진행되고 있습니다.

대북 현안을 둘러싼 여야 공방이 가열되고 있는데요,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장윤희 기자, 현재 상황 어떻습니까?

[기자]

현재 농림축산식품수산위원회 국감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국감에서 북한군에 피격된 해양수산부 공무원이 국감 주제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과 김홍희 해양경찰청이 국감에 직접 출석했습니다.

여야 할 것 없이 소속 공무원 피격에 대한 부처 대응, 해양경찰이 해당 공무원을 월북으로 판단한 근거에 대한 질의가 쏟아졌습니다.

국민의힘은 숨진 공무원의 유가족을 증인으로 채택하고, 상임위 차원의 현장방문 조사가 필요하다는 요구도 했습니다.

민주당은 정부·여당을 겨냥한 정쟁에 지나지 않는다며 맞섰습니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피격 공무원 사건을 국제기구에 전달해야 한다는 지적에는 "국제기구 성격상 조사 권한이 전혀 없다"고 밝혔습니다.

김홍희 해경청장은 공무원이 어업지도선에서 이탈한 시점을 '지난달 21일 오전 2시에서 3시 정도로 판단한다'며 추정 실종 시점을 처음 밝혔습니다.

그리고 실종 공무원 휴대전화가 인위적으로 꺼진 점을 월북 정황 증거로 들었습니다.

[앵커]

외교통일위원회 국감에서도 여야는 대북 현안으로 격돌했다면서요?

[기자]

외교통일위원회에서는 북한 조성길 전 이탈리아 대리대사 현안도 언급됐습니다.

국민의힘은 여당이 이 이슈로 국면 전환을 시도한다고 문제제기를 했고, 여당은 "어이가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국민의힘 조태용 의원은 "입국을 정부가 의도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다면 보안 사고"라고 정부 책임을 따져 물었습니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답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을 아꼈습니다.

이 장관은 또 오는 10일 북한이 노동당 창건 75주년을 맞아 저강도로 위력을 과시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 코리아소사이어티의 화상 연례 만찬 기조연설에서 종전선언을 강조한 것을 두고도 여야 간 공방이 빚어졌습니다.

보수 야권에서는 공무원 피격 사건 규명이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부적절한 발언이라 비판했고, 여권에서는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관한 것"이라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연합뉴스TV 장윤희입니다. (ego@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