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객 수 제한 놓고…예비부부 vs 예식장 분쟁 속출하나

  • 4년 전


이번 주말 결혼식을 앞둔 예비부부들도 막막하기만 합니다.

하객이 50명 이상 올 수 없는 날벼락을 맞았는데, 정부는 사실상 "피해를 감수해 달라"는 상황입니다.

김단비 기자입니다.

[리포트]
예비부부들이 결혼 준비를 위해 즐겨 찾는 온라인 커뮤니티입니다.

2단계 거리두기 강화로 예식장에 50명 이상 모일 수 없게 되자 당장 결혼을 앞둔 예비 부부들의 불만이 쏟아졌습니다.

사실상 하객을 받지 말거나 결혼식을 미루라는 강제 조치지만 조정은 계약자와 예식장 사이에 맡겨뒀기 때문입니다.

웨딩업체도 당황스럽긴 마찬가지입니다.

[A 웨딩홀 관계자]
"손님한테도 안내드릴 수가 없어요. 매뉴얼이 확정되지 않았거든요. 죄송합니다."

규모가 큰 웨딩업체의 경우 하객을 50명씩 공간을 분산시켜 식을 진행하는 방안을 논의중입니다.

[B 웨딩홀 관계자]
"총 연회장이 800석이에요. 공간 가운데 커튼이라든지, 가림막을 치고 구간, 구간을 나눠 진행해서"

하지만 하객이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걸 일일이 통제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정부는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며 국민이 피해를 감수해야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기존 웨딩업체와 맺은 보증인원 계약을 무효로 해달라는 등 국민 청원이 잇따르며 불만이 쏟아지자, 정부가 뒤늦게 대책을 내놨습니다.

[손영래 /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표준약관과 소비자분쟁해결기준 전이라도 위약금 없이 예식을 연기하거나 최소 보증인원으로 조정해줄 것을 예식업계와 계속 협의를 하고…"

하지만 공정위가 약관을 고치기 전까지는 업체 자율에 맡겨야 하는 만큼 소비자와 업체간 분쟁은 속출할 것으로 보입니다.

채널 A 뉴스 김단비입니다.

kubee08@donga.com
영상취재: 김기열
영상편집: 김민정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