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 강기슭 떨어진 ‘대북전단’

  • 4년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50~19:20)
■ 방송일 : 2020년 6월 23일 (화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신석호 동아일보 부장(북한학 박사),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김종석 앵커]
우리 정부 당국의 집중 단속에도 불구하고 한 탈북단체가 어젯밤 파주에서 대북 전단을 기습적으로 살포했습니다. 50만 장을 뿌렸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탈북단체가 공개한 대북 전단 살포 영상입니다.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이렇게 김정은 위원장과 김여정 제1부부장을 언급하는 대북 전단을 날려 보냈는데요. 이현종 위원님, 먼저 박상학 대표는 경찰의 집중 타깃이 됐으니 다른 회원들이 이 전단을 살포한 모양이더라고요?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그동안 대북 전단을 뿌려온 게 자유북한운동연합의 박상학 대표가 뿌려왔는데요. 아무래도 회원들은 경찰이 주시하고 있기 때문에 아마추어 회원들을 중심으로 해서 어제 기습적으로 살포한 것 같습니다. 일단 본인들 주장에 따르면 전단 50만 장과 함께 1달러짜리라든지 USB라든지 SD카드라든지를 올려 보냈다고 합니다.

[김종석]
그러니까 이 탈북단체가 북한이 먼저 대남 전단을 뿌리기 전에, 기상 사정도 고려해서 조금 더 발 빠르게 움직였다고 봐도 되는 겁니까?

[이현종]
그렇죠. 왜냐하면 정부 당국이 25일을 기점으로 워낙 많이 주시하고 있으니까. 박상학 대표는 수십 년 전부터 이걸 보내왔거든요. 그런 면에서 본다면 박 대표가 먼저 선수를 친 것 같습니다.

[김종석]
안찬일 소장님, 저게 홍천 산기슭에서 발견된 대북전단인데요. 앞으로도 50만 장 더 뿌린다고 했지만, 이번에 일부는 넘어갔는지 모르겠지만. 이렇게 어젯밤 파주에서 뿌렸던 대북전단이 홍천에서 발견됐단 말이죠?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이번에 제작된 삐라가 뿌려야할 시기가 있는 겁니다. 6.25 남침을 알리기 위해서 만든 것이니 6.25 때 뿌려야지, 그거 지나면 타이밍을 놓치는 거죠. 그래서 뿌렸는데 그 일부가 우리 쪽에 떨어졌다. 풍향을 따라가고 타이머의 오작동에 의해서 일부가 떨어진 것이지 전부가 우리 쪽에 떨어진 것은 아닙니다. 아마추어들이 불시에 뿌리다보니 뭔가 조종이나 그런 데에서 실수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김종석]
문성묵 센터장이 보시기에도 정확히 구체적으로 몇 장이 날아갔는지는 헤아릴 수는 없지만, 일단 일부는 북한 쪽으로 갔을 가능성도 높다고 봐야합니까?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그냥 뿌릴 리는 없거든요. 제가 볼 때는 민통선 안은 아닌 것 같습니다. 바깥쪽이고요. 그러니 경찰의 단속을 피하고. 또 지금 국민의 시선이 따갑고 주민들도 불안해하기 때문에 야간에 보이지 않고 은밀하게 보냈고. 제가 볼 때는 상당수가 북으로 갔을 텐데, 아직 북의 반응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북에 떨어졌다면 북한이 반드시 반응을 보이리라고 생각합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호현지 인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