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방미 이도훈 귀국…제재 완화 논의 주목

  • 4년 전
[뉴스특보] 방미 이도훈 귀국…제재 완화 논의 주목


북한이 대규모 대남전단 살포를 본격적으로 추진 중이라고 예고한 가운데, 우리 군은 감시 자산을 총동원에 북한의 군사 행동을 예의주시 하고 있습니다.

미국을 방문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2박 3일간 방미 일정을 마치고 귀국길에 올랐는데요.

관련 내용 황재옥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장, 최창렬 용인대 통일대학원장과 나눠봅니다.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방미 일정을 마치고 귀국길에 올랐습니다. 한미의 대북 공조책을 논의했을 텐데, 이 본부장은 방미 내용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극도로 말을 아꼈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나눴을가요?

북한에 대한 미국의 공식입장이 나오지 않고 있는 가운데 볼턴 전 보좌관의 회고록 추가 내용이 알려졌습니다. 북미 싱가포르 회담 때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제재완화에 대한 잘못된 시그널을 줬다는 건데요. 이런 오해가 북한이 강경하게 돌아서게 된 도화선이 됐을까요?

북한이 남북 관계 파탄의 원인으로 지목한 한미 워킹그룹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북한 문제를 조율한다면서 오히려 걸림돌이 됐다며 여권에서는 해체론까지 나왔습니다. 한미 워킹그룹의 역할, 어떻게 평가 할 수 있을까요?

북한에 쌀 페트병을 보내려던 탈북민단체가 내일로 계획한 행사를 막판에 접었습니다. 정부의 규제 의지와 반대 여론에 따른 건데요. 그런데 이번에는 반대로 북한이 "당해봐야 기분 더러운지 알 것"이라며 대남 비방전단을 뿌리겠다고 공언했습니다.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끼치길 바라는 걸까요?

김여정 제1부부장의 '말 폭탄'과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파괴 이후 북한은 숨 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입니다. 앞서 북한 총참모부가 예고한 4가지 군사적 계획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행동은 없는데, 북한의 다음 행보는 무엇일지요?

북한이 DMZ 내 GP를 복구하고 군대를 투입하는 등 특이동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 김정은 위원장의 전용기가 함경남도로 향하는 모습이 포착됐는데요. 군사적 도발을 준비하고 있다면 그 시기는 언제쯤 되리라고 보십니까?

한미 국방장관이 이달 중 화상회의를 열고 오는 8월 예정된 한미연합훈련 방식과 규모를 어떻게 할지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은 전략폭격기를 띄우기도 했는데 북한 도발에 대비한 일종의 경고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문 대통령이 김연철 통일부 장관의 사표를 수리했습니다. 후임자 발표는 아직이지만 물망에 오르고 있는 정치인 후보들이 있는데요. 통일부 장관 교체로 남북 관계 반전 계기를 만들 수 있을까요?

김연철 장관은 이임사에서 통일부가 가진 권한에 비해 짐은 너무 무거웠다고 했습니다. 통일부 역할이 제한적이었다는 지적인데요. 이를 계기로 청와대 안보실과 국정원 등 외교안보라인업 교체 필요성이 나오고 있어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