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신규확진 사흘만에 다시 50명대…수도권에만 41명

  • 4년 전
[뉴스특보] 신규확진 사흘만에 다시 50명대…수도권에만 41명


수도권 중심으로 소규모 집단감염이 지속되면서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사흘만에 다시 50명대로 늘어났습니다.

탁구장과 방문판매업체를 통한 집단 감염이 동시 다발적으로 번지고 있는 양상인데요.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김수민 시사평론가와 관련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틀 연속 30명대에 머물렀던 신규확진자 수가 다시 50명대로 늘었습니다. 현 상황에 대한 분석부터 부탁드립니다.

수도권 집중 양상은 점점 뚜렷해지고 있는데요, 이번 달 신규 확진자의 97% 정도를 차지한다고 해요? 방역당국을 특히 힘들게 하는건 수도권의 다양한 장소에서 이어지는 복잡한 '연쇄' 감염인데 이런 추세라면 전국으로 확산할 수 있단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수도권을 방문한 아빠가 확진 판정을 받은데 이어 일가족 3명이 확진 판정을 받는 일이 경남 지역에서 발생했는데 경남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것은 17일 만이라고 해요?

이태원발 감염이 확산될 때보다 최근에는 확진자들의 연령층이 높아진 것도 우려스럽습니다. 최근 일주일간 발생한 환자 열 명 중 약 네 명 꼴이 60대 이상이라고 하는데 방역당국에서도 노인 감염 증가가 "가장 우려했던 상황"이라고 진단하고 있는데요?

한편 양천구 탁구장에서 시작된 감염이 수도권 대형 입시학원으로까지 번졌는데 확진 판정을 받은 20대 남성은 학원 구내식당에서 조리보조원으로 근무했다고 해요? 그런데 이 남성이 일한 곳이 바이러스 전파가 이뤄지기 쉬운 '급식실'이었단 점이 더욱 걱정스러운데 우선은 전원 음성 판정이 나왔다고요?

그런데 양천구 탁구클럽을 다녀온 뒤 의심증상까지 보인 조리 보조원이 자가격리도 하지 않고 계속 일을 한 것으로 확인돼 방역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그런가 하면 어제 학교 운동장에서 코로나19 검사를 지원하던 보건소 직원 세 명이 쓰러졌는데 더위 때문이라고 합니다. 요즘처럼 더운 날씨에 방호복 속 온도는 40도가 넘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무더위 속 현장에서 고생하는 분들을 위한 안전 대책이 나와야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어제 서울도 올해 첫 폭염특보가 내려졌는데 이런 무더위 속에 코로나19 방역도 비상입니다. 마스크를 착용한 채 수업에 임해야 하는 학생들과 교직원 모두 고통스러운 현실인데 차라리 비대면 수업으로, 집에서 마스크를 벗고 공부하는 게 더 낫겠단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고 해요?

그런가 하면 코로나19로 현재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대학 입시에서 불리할 거란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 대책이 곧 나온다고요? 수능 일정은 그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 보여요?

한편 국내 의료진이 중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환자를 초기에 선별할 수 있는 위험요인 네 가지를 밝혀냈는데, 해외가 아닌 국내환자의 중증 진행을 가늠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확인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면서요?

또 오늘부터는 노래연습장과 클럽 등 감염병 전파 고위험시설에 들어가려면 개인 신상정보가 담긴 QR코드를 반드시 찍어야 하는데 고위험시설 8곳이 어딘가요? 또 이를 어길 경우 어떤 행정처분을 받게 되는 건가요?

이 와중에 대구시에서는 코로나19 긴급생계자금 25억 원을 잘못 지급한 것으로 드러나 급히 환수에 나섰다는데, 어떻게 이런 일이 생긴 겁니까?

정세균 국무총리도 긴급생계자금을 공무원이 부정수급한 사례가 더 있는지 점검하라고 각 지자체에 지시한 상황이죠?

이 내용만 짚고 해외상황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신천지 대구교회를 중심으로 코로나19가 창궐하던 지난 2월 신천지 대구교회를 다녀왔다고 거짓말하고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20대가 징역 2년의 실형을 선고받았는데 재판부는 실형을 선고한 배경은 뭡니까?

나라 밖 상황 좀 살펴보면 중동에서는 라마단 이후 코로나19 감염이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는데 라마단 관련 대대적 봉쇄완화 정책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 그렇다면 '예고된 참사'라고도 볼 수 있는 겁니까?

일본에서는 도쿄 호스트클럽에서 확진자가 나오고 있지만, 영업을 계속하고 있어 집단감염의 새 진원지가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