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원격의료 도입 속도 내나

  • 4년 전
코로나19 사태로 원격의료 도입 속도 내나

[앵커]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IT 기술을 활용한 원격의료 도입 논의에 다시 불을 지폈습니다.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의료계 설득이 관건입니다.

배삼진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한시적으로 허용된 전화 의료상담과 처방.

최근 8주간 의료기관 3,000여곳에서 13만건 넘게 이뤄졌습니다.

별다른 오진 사례가 없는 만큼 이를 계기로 첨단기술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서비스, 원격의료의 도입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해야 한다는 것이 정부 입장입니다.

정부는 첫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원격의료를 언급하며 규제 혁파를 강조했습니다.

"원격의료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이 더더욱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21대 (국회에서는) 이전보다는 훨씬 더 실질적이고 아주 속도감 있는 그런 (의료법 개정)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주무 부처인 보건복지부는 의료계 등 전문가 집단과 충분한 논의를 거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대면 진료의 효용성을 높이거나 보완할 수 있는 그런 가능성이 있는지, 그리고 미래의 의료환경에 대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국민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식인지를 기준으로 해서…"

의료계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는데, 일부 단체는 반발하고 있습니다.

원격의료가 도입되면 첨단시설과 많은 의료진이 갖춰진 대형 병원으로 환자 쏠림 현상이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단지 휴대전화 진료를 원하는 건 분명 아니에요. 의료기기를 판매하는 대기업들 논의가 나올 수밖에 없을 텐데, 원격의료의 정의부터 국민생명에 도움이 되는 부분 테스트하고, 검증하고 적용하는 게 맞습니다."

과거에도 원격의료 도입을 둘러싼 갈등이 여러 차례 있었던 만큼 충분한 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