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애인 시설 '집단 격리'…신속 진단·이송 중요

  • 4년 전
노인·장애인 시설 '집단 격리'…신속 진단·이송 중요
[뉴스리뷰]

[앵커]

노인이나 장애인 등이 모여있는 생활복지시설은 면역력 약한 사람들이 모여있는 데다 외부 사람들이 드나들어 코로나19 집단발병 위험이 높습니다.

그래서 정부가 이들 시설에 대한 관리 대책을 내놨는데 어떤 내용인지, 또 보완해야 할 점은 없는지 이진우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코로나19 확진자 중 요양병원, 요양시설 등 생활복지시설에서 감염된 사례는 전국적으로 100명이 넘습니다.

노인과 장애인, 지병이 있는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머물다 보니 한 사람만 감염돼도 빠르게 퍼질 수 있고 사망률도 높아 특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정부가 경기, 경북지역 전 생활복지시설에 2주간 집단격리를 권고한데 이어 권고 대상을 전국적으로 확대하려는 이유입니다.

"취약하고 위험도가 높은 분들이 머물고 있는 생활 시설에 감염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망률이 높을 가능성이…"

'코호트 격리'로 불리는 집단격리는 감염자가 발생한 장소를 통째로 봉쇄하는 조치를 말합니다.

하지만 확진자를 빨리 찾아내 병원으로 긴급 이송하지 않으면 오히려 감염이 확산할 위험도 있습니다.

집단격리된 청도대남병원에서 120여명의 확진자와 사망자 9명이 발생한 게 그 예입니다.

"내부에 중환자가 있다고 하면, 당연히 중증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격리시설로 보내야 할 것이고요. 요양기관에는 당연히 격리시설이 없기 때문에 빨리 확진자들을 추려내서…"

정부는 먼저 오는 11일과 12일 전국 1,400여 생활복지시설의 출입제한 조치 이행여부를 전수조사할 계획입니다.

이 과정에서 고령자나 지병이 있는 사람들을 우선 검사해 치료병원으로 이송할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 (jinu@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