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성동구 보건소 방문…"中유학생도 관리 필요"

  • 4년 전
문 대통령, 성동구 보건소 방문…"中유학생도 관리 필요"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8일 만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의료 현장을 다시 찾아갔습니다.

이번에는 방역 체계의 최전방에 있는 보건소에 들렀는데요.

중국 유학생과 조선족 동포에 대한 종합적이고 꼼꼼한 관리를 주문했다고 합니다.

청와대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강민경 기자.

[기자]

네, 문재인 대통령이 찾아간 성동구 보건소에는 감염병 환자 치료를 위한 음압 시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음압 병동을 위한 별도 건물까지 만들었는데요.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지자체 차원에서 결정한 겁니다.

보건소가 이처럼 확실한 선별 진료소를 운영하는 경우는 서울시 중 성동구가 유일하다고 합니다.

보건소에 도착한 문 대통령은 감염 예방 수칙에 따라 관계자들과의 악수를 생략하고, 마스크를 썼습니다.

이후 박원순 서울시장과 성동구청장, 보건소장에게 지역사회 방역 대책을 보고받았습니다.

문 대통령은 "중국인 유학생이나 교환학생, 조선족 동포 같은 사람들이 많은데 이들에 대한 종합적이고 꼼꼼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지자체와 교육부가 협력해 중국에서 온 학생들은 2주 동안 자체적으로 격리해야 하지 않겠냐고 말하기도 했는데요.

박원순 시장도 공감한 뒤 "태국과 말레이시아 등에서 오는 유학생들도 포함해 검토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대학 총장들과 함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지자체를 향해서는 "지역사회 주민들을 과도한 불안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하루아침에 끝날 것 같지 않다고 평가했는데요.

"언제까지 계속될지 알 수 없으니 장기적인 인력에 대한 수급체계가 필요하다"며 필요한 게 있다면 언제든 서울시나 중앙정부에 요청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이번 사태를 발판 삼아, 신종 감염병에 대한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대응수칙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일단 현재 상황을 잘 수습한 뒤, 범정부 차원의 논의를 해보자고 제안했습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kmk@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