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문희상 안, 강제징용 피해 해결 안 돼"

  • 5년 전
靑 "문희상 안, 강제징용 피해 해결 안 돼"

[앵커]

청와대가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중국 청두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한일 정상 간의 개별 만남이 이뤄지는 건데요.

청와대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이재동 기자.

[기자]

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4일 오후 중국 청두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만나 양국 관계 현안을 논의한다고 청와대가 공식 발표했습니다.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이번 한일정상회담은 그동안 양국 관계의 어려움에 비춰 개최 자체에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는데요.

김 차장은 "지난달 태국에서 이뤄진 환담에 이어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하고 한일관계 개선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한일정상회담은 지난해 9월 미국 뉴욕 유엔 총회 계기에 이어 15개월 만인데요.

회담에서는 수출규제 문제와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지소미아 종료 등 현안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한일정상회담은 청두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 계기로 열리는 건데요.

앞서 문 대통령은 23일 방중길에 오르면서 베이징에서 우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을 갖고요.

회담 직후 청두로 이동해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의 양자회담,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 등 바쁜 일정을 소화하게 됩니다.

[앵커]

수출규제 조치로 한일관계가 어려운 가운데 이번 만남이 양국 관계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요?

[기자]

네 이번 한일 정상회담을 통해 일본의 수출규제 문제가 해소될 수 있을지가 역시 관건인데요.

일단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 문제에 대해 "정상끼리 만나면 항상 진전이 있기 마련"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진전되는 범위가 더 넓었으면 좋겠다"고 언급해 역시 문제 해결이 쉽지 않다는 것을 시사했습니다.

특히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의 근본 원인인 강제징용 피해 배상 문제를 둘러싼 양국 이견차가 좁혀지지 않는 상황인데요.

한일 기업과 국민의 성금으로 위자료를 주자는 문희상 국회의장이 최근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데 오늘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대법원 판결의 '존중'과 '피해자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다는 건데요.

이 관계자는 "어떤 해법이 나오더라도 일본 가해 기업이 원하지 않으면 기금에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다"며 "대법원 판결 이행이 안 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피해자들의 의견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확정판결을 받은 피해자 분들이 안에 대해 거부하고 사법절차를 강행하면 문제가 해결이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일 양측의 이견이 워낙 크기 때문에 한일 정상회담에서 구체적인 성과가 나올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할 것 같다는 분석입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