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조선왕조실록] 음력 5월 8일(6월 5일)

  • 5년 전
■ 세종 7년 (1425년) : 돈이 잘 통용되지 않아 날로 가치가 떨어짐(쌀 한되 세푼)
⇒ 백성들이 돈을 쓰지 않아 가치가 점차 떨어지자 돈의 가치를 3배로 높여 사용을 권장하였다

■ 세종 13년 (1431년) : 각 사의 노비들을 부모와 떨어지지 않게 하다
⇒ 세종은 노비라도 부모와 함께 살도록 하였다

■ 세종 15년 (1433년) : 양산군 옥룡연, 나주의 현도 등에 용이 산다는 전설을 확인하기 위해 순백색 암말을 방목했다
⇒ 용이 있다는 곳에 백색 암말을 놔두고 이를 잡아 먹는 지 아닌 지를 보게 하였다

■ 세종 19년 (1437년) : 경상도감사에게 한 줄기에 이삭이 서너개 있는 보리종자를 심어 시험토록 지시
⇒ 이삭이 많은 보리를 시험 경작하게 하였는데 식량생산을 늘리기 위한 노력이었을 것이다

■ 세종 24년 (1442년) : 호조에서 측우기를 이용해 강우량 측정하는 일에 관해 보고하다
⇒ 서울은 물론 지방의 각 고을 마다 측우기를 만들어 비가 내린 양을 측정하고 기록하게 하였다

■ 세종 25년 (1443년) : 욕을 했다고 노비를 때려 죽인 종친을 국문하다

■ 광해 12년 (1620년) : 각 궁궐의 경비를 서울 사대부의 종들로 대신 세우는 것을 엄단토록 다시 지시
⇒ 사대부들이 종에게 병역 의무를 대신 지우는 것을 엄단하라고 지시했다

■ 숙종 39년 (1713년) : 함양 산중턱에 눈이 쌓이는 등 여러 곳에서 기상이변
⇒ 초여름임에도 함양의 산중턱에 눈이 겨울처럼 쌓였다

■ 정조 15년 (1791년) : 가정에서는 적서 차별을 하도록 하다
⇒ 성균관에서는 적서의 차별 없이 나이 순서대로 대접을 했지만 가정에서는 적자와 서자의 차별을 인정하였다

■ 고종 25년 (1888년) : 미국에서 돌아온 참찬관 이완용을 접견하다

도움말 : 김덕수 (통일농수산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