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 결함 '쉬쉬'하고…"돈 내고 교체" 공문까지

  • 5년 전
◀ 앵커 ▶

주방용 소화기에서 폭발 결함이 확인됐다는 소식 전해드린 바 있는데요.

소방당국은 연이은 폭발 사고에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그 사이 주민들은 자기 돈을 내고 문제 있는 소화기를 교체하고 있습니다.

왜 이렇게 일이 벌어졌는지 이문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주방용 소화기의 검사와 승인을 담당하는 소방청 산하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지난해 3월 인천의 한 아파트에서 폭발한 주방용 소화기가 불량 제품인 걸 알았지만, 무슨 이유에선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습니다.

[A씨/소방기술원 관계자]
(불량이 있었던 걸 아셨죠?)
"예, 알고 있었습니다. 다른 사람을 통해서 전달받았는데…"

여섯달 뒤인 지난해 9월, 서울 마포구의 한 아파트도 기술원에 "주방용 소화기가 이유 없이 터져 하자가 있는 것 같다"며 "이상 유무를 판단해 달라"는 공문을 보냈습니다.

이에 대해 기술원은 한달 뒤 "제품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불가능하다"고 회신했습니다.

[B씨/소방기술원 관계자]
"양산되는 과정에서 불량은 섞여 있을 수도 있는 부분이라서 일시적인 불량 형태가 아닌가…"

소방청과 기술원의 합동조사는 올해 초 처음 실시됐고, 뒤늦게 '밸브에 결함이 있다'고 결론냈습니다.

[소방청 관계자]
"경미한 건으로 기술원은 판단을 했다 두 건 다. 그래서 우리한테 보고를 안했다고 하는데…소방청하고 같이 합동으로 나간 민원이 발생한 상황이잖아요..그때라도 늦었지만 이뤄졌어야…"

그 사이 전국의 각 지역의 아파트에서 주방용 소화기 폭발 사고가 잇따랐습니다.

불안감에 휩싸인 아파트 입주민들은 자기 돈을 들여 소화용기를 교체해야 했습니다.

결함있는 제품을 만든 소화기 업체는 소화용기 하나에 5만원에서 27만원까지 받아가며 또 장사를 한 셈입니다.

업체측은 '무한 품질을 요구하는 건 무리'라며,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제품을 빨리 교체하라고 단지마다 공문을 보내기도 했습니다.

소방청과 소방산업기술원이 첫 신고가 접수된 일년 반전 발빠르게 결함 판정을 내린뒤 리콜 조치를 했더라면 폭발에 따른 위험과 아파트 입주민들의 금전적인 손해를 동시에 줄일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문현입니다.

[자료제공 : 김영호 의원 / 행정안전위원회]

추천